레너드 블룸필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너드 블룸필드는 1887년 시카고에서 태어나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독일과 괴팅겐 대학교에서 수학하며 인도유럽어학을 연구했고, 일리노이 대학교,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예일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블룸필드는 미국 언어학회 창립에 기여했으며, 《언어》를 포함한 여러 저서를 통해 언어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행동주의적 원리에 기반한 언어 연구, 형식적인 분석 방법론, 그리고 알곤킨어족 언어 연구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스크리트어학자 - 현장
현장은 당나라의 승려이자 불경 번역가, 여행가로서, 17년간 인도를 여행하며 불경을 가져와 중국어로 번역하여 동아시아 불교 사상 발전에 기여했고, 그의 여행기는 『대당서역기』로 남아 소설 『서유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 산스크리트어학자 - 마하 짜끄리 시린톤
마하 짜끄리 시린톤 공주는 태국의 공주로서 교육, 기술, 문화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태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국제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형태론자 - 파니니
파니니는 고대 인도의 언어학자로, 고전 산스크리트어 문법서 《아슈타디야이》를 저술하여 현대 언어학과 컴퓨터 과학에 영향을 미쳤다. - 형태론자 - 모리스 할레
라트비아 출신 미국 언어학자인 모리스 할레는 생성 음운론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촘스키와 함께 생성 음운론의 기초를 다지고 MIT 현대 언어학과를 창설하여 진보적인 학문 연구의 발판을 마련했다. - 음운론자 - 프란츠 보아스
독일 태생 미국 인류학자 프란츠 보아스는 문화 상대주의와 현장 연구를 강조하며 미국 인류학의 기틀을 세웠고, 인류학과를 설립하여 4분야 접근법을 제시했으며, 인종 차별에 맞서 싸운 사회적 책임 학자로서 20세기 인류학계 거장들을 배출했다. - 음운론자 - 모리스 할레
라트비아 출신 미국 언어학자인 모리스 할레는 생성 음운론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촘스키와 함께 생성 음운론의 기초를 다지고 MIT 현대 언어학과를 창설하여 진보적인 학문 연구의 발판을 마련했다.
레너드 블룸필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레너드 블룸필드 |
원어 이름 | Leonard Bloomfield |
출생일 | 1887년 4월 1일 |
출생지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사망일 | 1949년 4월 18일 |
사망지 | 미국 코네티컷주 뉴헤이븐 |
국적 | 미국 |
학력 | |
모교 | 하버드 대학교 |
경력 | |
직장 | 위스콘신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
연구 분야 | |
분야 | 언어학 민족언어학 |
2. 생애
레너드 블룸필드는 시카고에서 태어나 하버드 대학교와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신시내티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예일 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에서 독일어와 언어학을 가르쳤다. 미국 언어학회의 창립 회원이며, 1935년 회장을 역임했고, 1938년부터 1941년까지 하계 언어학 학회에서 강의했다. 1946년 뇌졸중으로 쓰러지기 전까지 예일 대학교에서 언어학 스털링 교수직을 역임했다.
블룸필드는 1909년에 앨리스 세이어스와 결혼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블룸필드는 1887년 4월 1일 일리노이주 시카고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시그문드 블룸필드는 1868년 어린 나이에 미국으로 이민 왔으며, 원래 가족 성은 블루멘펠트(Blumenfeld)였으나 블룸필드(Bloomfield)로 바뀌었다.[65] 1896년, 블룸필드의 가족은 위스콘신주 엘크하트레이크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초등학교를 다녔다. 하지만 중학교 교육을 위해 다시 시카고로 돌아왔다.[66] 그의 삼촌 모리스 블룸필드는 존스 홉킨스 대학의 저명한 언어학자였고,[67][68] 그의 고모 파니 블룸필드 차이슬러는 유명한 피아니스트였다.블룸필드는 1903년부터 1906년까지 하버드 대학교에서 공부해 학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시작해 독일어와 게르만어 문헌학 및 기타 인도유럽어에 관한 수업을 들었다.[69] 블룸필드는 위스콘신 대학의 인도유럽어학자 에두아르트 프로코슈와의 만남을 계기로 언어학에 전념하게 되었다. 1908년, 시카고 대학교 박사 과정으로 진학하여 프랜시스 A. 우드와 칼 달링 벅 밑에서 독일어 및 인도유럽어 문헌학을 공부했다. 우드의 지도 아래 블룸필드는 게르만어파 역사언어학에 관한 박사학위논문을 쓰고 1909년에 졸업하였다.
1913년부터 1914년까지 라이프치히 대학교와 괴팅겐 대학교에서 아우구스트 레스키엔, 카를 브루크만 및 베다 산스크리트어 전문가 헤르만 올덴베르크 등 당대 최고의 인도유럽어학자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괴팅겐에서 블룸필드는 산스크리트어 전문가 야코프 바케르나겔 밑에서도 공부하였으며, 훗날 바케르나겔과 파니니의 엄격한 문법 분석에 기반한 산스크리트어 문법학 전통을 자신의 역사언어학·기술언어학 연구에 있어 주요한 영향으로 꼽았다.[70][71] 유럽 유학은 그가 강사로 있던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부교수로 승진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이었다.[72]
2. 2. 학문적 경력
블룸필드는 1909년부터 1910년까지 신시내티 대학교에서 독일어 강사로, 1910년부터 1913년까지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독일어 강사로 재직했다.[73][74][14][15] 1913년부터 1921년까지 같은 대학교에서 비교 언어학과 독일어 조교수를 역임했고, 1921년부터 1927년까지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에서 독일어 및 언어학 교수를 지냈다. 1927년부터 1940년까지 시카고 대학교에서 게르만어 문헌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1940년부터 1949년까지 예일 대학교에서 언어학 스털링 교수로 재직했다.[73][74]1925년 여름, 블룸필드는 에드워드 사피어의 주선으로 캐나다 광업부 산하 캐나다 지질조사국에서 보조 민속학자 직책을 맡아 평원 크리어에 대한 언어학 현장 조사를 수행했다. 당시 사피어는 캐나다 지질조사국 산하 빅토리아 박물관 인류학 부장이었다.[73][74][14][15]
블룸필드는 미국 언어학회 창립 회원 중 한 명이었다. 1924년, 그는 조지 M. 볼링(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및 에드가 스터티번트(예일 대학교)와 함께 학회 창립을 위한 위원회를 결성하고 창립 목적을 담은 글을 작성했다.[75][76][17][18] 그는 미국 언어학회 학회지 〈언어(Language)〉 창간호에 주요 논문을 기고했으며,[77][19] 1935년에는 학회 회장을 역임했다.[78][20] 1938년부터 1941년까지 미국 언어학회 하계 언어학 연구소에서 강의했는데, 1938년부터 1940년까지는 미시간주 앤아버에서, 1941년에는 노스캐롤라이나주 채플힐에서 열렸다.[79][21] 1946년 5월, 블룸필드는 뇌졸중으로 쓰러져 학문적 경력이 중단되었다.[16]
3. 주요 연구 분야
레너드 블룸필드는 인도유럽어학, 산스크리트어학, 오스트로네시아어학, 알곤킨어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했다.
블룸필드는 미국 언어학회 창립에 관여했으며, 그의 사상은 행동주의적 의미 연구, 형식적인 언어 데이터 분석 절차, 그리고 언어학에 엄격한 과학적 방법을 도입하려는 특징을 지닌다. 1950년대부터 1960년대에 걸쳐 생성 문법이 등장하면서 블룸필드의 영향력은 감소했다.
블룸필드는 알곤킨조어 재구축 연구를 통해 알곤킨어족 역사 연구의 기초를 마련했다.
3. 1. 인도유럽어학
블룸필드는 초기에 게르만어파 역사언어학을 연구했으며, 박사 학위 논문과 인도유럽어 및 게르만어 음운론, 형태론에 관한 여러 논문을 썼다.[80][81] 독일에서 박사후 과정을 거치며 젊은이 문법학파 전통에 대한 전문성을 키웠고,[82] 특히 음운 변화의 규칙성이라는 젊은이 문법학파의 원칙을 역사언어학의 기본 개념으로 강조했다.[83]학위 논문 이후, 블룸필드는 산스크리트어 경구개음에 관한 논문,[84] 파니니의 산스크리트 문법학 전통에 관한 글,[85] 몇 편의 서평을 통해 인도유럽어학에 기여했다. 《언어학 개론(An introduction to language)》(1914)과 《언어》(1933)에서 인도유럽어족의 예시를 통해 역사비교언어학의 원리를 설명했다.[86] 그는 음운 변화의 규칙성이라는 젊은이 문법학파 가설을 뒷받침하는 예시를 제시하고, 성공적인 비교언어학 연구 단계를 (1) 텍스트 자료 분석, (2) 비교 재구 적용, (3) 조어형(祖語形) 재구로 정리했다.[86] 방언학 연구, 사회언어학적 요소, 의미론적 효과의 중요성도 강조했으며,[87] 규칙적 언어 변화뿐 아니라 차용과 유추에 따른 변화도 인정했다.[88]
블룸필드의 인도유럽어학 연구는 “인도유럽어학의 이론적 기반을 명확히”하고, “일반언어학 내에서 인도유럽어학의 지위를 확립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89]
3. 2. 산스크리트어학
1913년부터 1914년까지 독일에서 인도유럽어학을 공부하면서, 블룸필드는 산스크리트어 문법학 전통을 접하게 되었다. 이 전통은 기원전 4세기 또는 5세기 인도 서북부에 살았던 문법학자 파니니로부터 시작되었다.[90] 파니니의 문법은 산스크리트어의 언어적 형식을 매우 철저하고 명확하게 설명하며, 복잡한 문맥 의존적 규칙에 기반한 생성적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블룸필드는 “파니니는 모든 굴절형, 합성어, 파생어의 구성을 제시하였으며 (악센트를 포함한) 소리의 변화와 의미를 정확하게 명시하였다.”라고 말했다.[91]파니니의 체계적 분석 방식은 다음과 같은 요소를 포함한다.[93]
번호 | 요소 |
---|---|
1 | 문법 규칙 형성을 위한 요소 |
2 | 소리의 목록 |
3 | 하위 목록들로 정리되는 동사 어근의 목록 |
4 | 형태소 부류의 목록 |
블룸필드의 교과서 《언어》는 ‘언어적 형식’, ‘독립형’ 따위의 기본적 개념을 다루는 방식에서 파니니의 영향을 보여준다. 블룸필드가 합성어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용어인 ‘외심적’·‘내심적’이라는 용어 또한 파니니로부터 왔다.[94][95] 그의 사후에 출판된 저서인 《동부 오지브와어》(1958)에서도 파니니에게서 빌려온 개념을 찾아볼 수 있는데, 특히 그가 영형태소 개념을 사용하는 방식이 그러하다.[96] 블룸필드가 품사 구분에 접근하는 방식 또한 파니니의 영향을 받았다.[97]
3. 3. 오스트로네시아어학
일리노이 대학교 재직 시절, 블룸필드는 필리핀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인 타갈로그어를 연구했다. 1914년부터 1917년까지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공학을 전공한 알프레도 비올라 산티아고를 통해 현장조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는 《타갈로그어 텍스트 및 문법 분석》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는데, 여기에는 산티아고가 발화한 텍스트들과 폭넓은 문법 기술 및 텍스트에 등장한 모든 단어의 분석이 실려 있다.[98] 블룸필드의 타갈로그어 연구는 현장조사 시작부터 출판까지 채 2년도 걸리지 않았다.[99] 이 연구는 “모든 오스트로네시아어 연구 중 가장 뛰어나며 [...] 완전함, 정확함, 예시의 풍부함 면에서 그 결과로 나온 타갈로그어 기술을 뛰어넘는 것은 지금까지 하나도 없었다”는 평가를 받았다.[100]블룸필드가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에 관해 출판한 글은 일로카노어의 통사론에 관한 글 한 편이 전부로, 일로카노어 모어 화자인 예일 대학교 학생과의 연구에 기반했다. 이 논문은 “7쪽도 안 되는 분량 안에 일로카노어의 분류적 통사론 전체를 설명한 역작”이라는 평가를 받았다.[101][102]
3. 4. 알곤킨어학
블룸필드는 알곤킨어파에 속하는 폭스어, 크리어, 메노미니어, 오지브웨어에 대한 기술언어학 및 비교언어학 연구를 수행했다.[103] 그는 각 언어에 대한 문법서, 어휘집, 텍스트 모음 등을 출간하고, 알곤킨조어를 재구하는 데 기여했다.[104] 특히, 메노미니어 음운론적 교체에 관한 논문은 이론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114]블룸필드는 크리어, 메노미니어, 오지브웨어를 현장 연구했고, 기존에 출판된 폭스어 텍스트 모음을 분석했다. 1919년쯤 시작된 알곤킨어파에 관한 그의 첫 연구는 윌리엄 존스와 트루먼 마이컬슨이 출판한 폭스어 텍스트 모음이었다.[105][106] 이 텍스트들을 분석해 문법에 관한 사항을 뽑아내 폭스어의 간략한 문법서를 썼고,[107] 그가 추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폭스어 어휘집이 그의 사후에 출판되었다.[108]
1920년과 1921년 여름, 블룸필드는 메노미니어 현장 연구를 나갔고, 1939년 9월에도 짧은 현장 연구를 수행했다. 1930년대 후반에는 시카고의 메노미니어 화자들이 그를 방문하고 편지를 주고받았으며,[109] 모리스 스와데시가 1937년과 1938년에 수집한 자료도 보탬이 되었다.[110] 그의 메노미니어 관련 주요 저작으로는 텍스트 모음,[111] 문법서와 어휘집 (모두 그의 사후에 출간됨),[112][113] 메노미니어의 음운론적 교체에 관한 논문 등이 있다.[114]
1925년, 블룸필드는 에드워드 사피어의 주선으로 캐나다 지질조사국에서 서스캐처원주의 스위트 그래스 및 스타 블랭킷 원주민 보호구역에 거주하는 평원 크리어 화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로 두 권 분량의 텍스트 모음과 그에 사후에 출간된 어휘집이 만들어졌다.[115][116][117] 그는 잠시 매니토바주에서 습지 크리어 현장 조사도 진행했는데, 이 연구는 음운 변화에는 예외가 없다는 가설의 예측 능력을 뒷받침하는 자료를 제공했다.
블룸필드는 윌리엄 존스가 수집한 텍스트와 19세기에 쓰인 문법서 및 사전을 공부하며 오지브웨어 연구를 시작했다.[118][119] 1938년, 미국 언어학회가 미시간 대학교에서 개최한 하계 언어학 학회 기간 동안 그는 오지브웨어의 오타와 방언 화자인 앤드루 메들러와 함께 현장 연구 방법 강의를 했다. 앤드루 메들러는 미시간주 새기노에서 태어났지만 삶의 대부분을 온타리오주 월폴섬 원주민 보호구역에서 살아온 인물이었다. 문법 기술, 문장 및 텍스트 전사, 어휘집 등을 포함한 그의 연구 결과는 사후에 한 권의 책으로 묶여 출판되었다.[120] 1941년에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에서 열린 하계 언어학 학회에서 오타와 방언 화자 앤젤린 윌리엄스와 함께 작업하여 역시 그의 사후에 출간된 텍스트 모음을 만들었다.[121]
4. 주요 저작
레너드 블룸필드(Leonard Bloomfield영어)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 | 제목 | 비고 |
---|---|---|
1914 | 언어학 개론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Language영어) | [https://archive.org/details/introductiontost00bloo 원문] |
1917 | 타갈로그어 텍스트 및 문법 분석 (Tagalog Texts with Grammatical Analysis영어) | |
1928 | 메노미니 텍스트 (Menomini Texts영어) | |
1933 | 언어 (Language영어) | |
1958 | 동부 오지브와어 (Eastern Ojibwa영어) | |
1962 | 메노미니어 (The Menomini Language영어) |
5. 평가 및 영향
블룸필드는 미국 언어학회 창립에 관여한 주요 인물이다. 그의 사상은 의미 연구에서 행동주의적 원리, 언어 데이터 분석에서 형식적인 절차를 강조하고, 언어학에 엄격한 과학적 방법을 도입하려는 특징을 보인다. 1950년대부터 1960년대에 걸쳐 생성 문법이 등장하면서 블룸필드의 영향력은 감소하였다.[1]
블룸필드는 알곤킨어족 계통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알곤킨 조어를 재구축했다. 그의 논문은 현재도 알곤킨어족의 역사 연구의 기초가 되고 있다.[1]
참조
[1]
논문
Roman Jakobson and the Transition of German Thought to the Structuralist Paradigm
[2]
웹사이트
"Harrisian distributionalism is usually represented as a prime exemplar of the alleged striving of 'Bloomfieldians' to eliminate meaning from linguistics. In fact, it explicates Leonard Bloomfield's affirmation that the form of an utterance and the meaning that it conveys are two aspects of the same thing. It has a deep connection with the search for configuration and pattern in language data exemplified by Edward Sapir, who regarded Harris as his intellectual heir." Zellig Harris, Description
http://zelligharris.[...]
2020-07-31
[3]
문서
[4]
논문
The Influence of Bloomfield's Linguistics on Skinner
2007-01-01
[5]
웹사이트
Structuralism Definition, Characteristics,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3-31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서적
Bloomfield, Leonard
Fitzroy Dearborn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4-18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서적
Pāṇini: a survey of research
Motilal Banarsidass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37]
논문
Bloomfield and the Sanskrit Origin of the Terms 'Exocentric' and 'Endocentric'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1987
[72]
서적
1990
[73]
서적
1949
[74]
서적
1987
[75]
서적
1925
[76]
서적
1990
[77]
서적
1925
[78]
서적
1970
[79]
서적
1949, 1990
[80]
서적
1909/1910
[81]
서적
1949
[82]
서적
1987
[83]
서적
1928
[84]
서적
1911
[85]
서적
1927
[86]
서적
1987
[87]
서적
1987
[88]
서적
1987
[89]
서적
1987
[90]
서적
Pāṇini: a survey of research
http://www.worldcat.[...]
Motilal Banarsidass
1997
[91]
서적
1929, 1987
[92]
서적
1987
[93]
서적
1987
[94]
저널
Bloomfield and the Sanskrit Origin of the Terms 'Exocentric' and 'Endocentric'
https://doi.org/10.1[...]
1982
[95]
서적
1987
[96]
서적
1987
[97]
서적
1987
[98]
서적
1970
[99]
서적
1987
[100]
서적
1987
[101]
서적
1987
[102]
서적
1942
[103]
서적
1925
[104]
서적
1946
[105]
서적
1907
[106]
서적
1921
[107]
서적
1925-1927
[108]
서적
1984
[109]
서적
1987
[110]
서적
1987
[111]
서적
1928
[112]
서적
1962
[113]
서적
1975
[114]
서적
1939
[115]
서적
1930
[116]
서적
1934
[117]
서적
1984
[118]
서적
1917-1919
[119]
서적
1987
[120]
서적
1958
[121]
서적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